자외선 차단제 올바른 선택과 사용법 유기자차 무기자차 자외선 차단방식
본문 바로가기

지식/건강

자외선 차단제 올바른 선택과 사용법 유기자차 무기자차 자외선 차단방식

반응형

자외선차단제
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자외선 지수가 매우 높을 때는 되도록 외출을 자제하는 것이 좋지만, 부득이하게 바깥 활동을 할 때는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고 외출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면 여름철 색소 침착, 피부 노화등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자외선 차단제는 어떤 제품을 골라야 하는 걸까요? 

 

자외선차단제 올바른 구매법

 

① 기능성화장품 표시 확인하기
식약처에서 자외선 차단 효과에 대해 인정한 제품에만 표시됩니다.
 
② 사용 목적에 맞는 자외선차단제 선택하기

  •  자외선차단지수(SPF)와 자외선A 차단등급(PA)확인하고 구매하기
  • 자외선차단지수(SPF : Sun Protection Factor) : 자외선B의 차단 효과를 나타내는 지수
  • 자외선A 차단등급(PA :  Protection grade of UVA : 자외선A의 차단 효과를 나타내는 등급

 

자외선B
자외선 B는 피부가 붉어지면서 따갑고 화끈거리는 일광화상이나 피부 손상, 심한 경우 백내장, 피부암까지 일으킨다. 햇볕에 타는 증상은 대부분 자외선 B 때문이다.

자외선A
노화의 주범인 자외선 A(UVA)는 피부에 침투해 검버섯이나 기미, 주근깨 등을 만드는 색소 침착 반응을 일으킨다. 진피층에서는 콜라겐을 파괴해 피부 탄력을 감소시키고 주름을 형성하는 등 피부 노화를 주도한다.

 

SPF 수치가 크거나 PA등급이 높을수록 자외선 차단 효과가 좋지만 피부가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으므로 노출예상시간, 자외선강도, 활동종류등 상황에 맞게 적절한 제품을 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외선 차단 방식을 확인하고 구매하기
 

자외선B
자외선 B는 피부가 붉어지면서 따갑고 화끈거리는 일광화상이나 피부 손상, 심한 경우 백내장, 피부암까지 일으킨다. 햇볕에 타는 증상은 대부분 자외선 B 때문이다.

자외선A
노화의 주범인 자외선 A(UVA)는 피부에 침투해 검버섯이나 기미, 주근깨 등을 만드는 색소 침착 반응을 일으킨다. 진피층에서는 콜라겐을 파괴해 피부 탄력을 감소시키고 주름을 형성하는 등 피부 노화를 주도한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자외선차단제 올바른 사용법

 

  • 실내에서도 바르기
  • 외출 15분 전에 충분한 양을 피부에 골고루 바르기
  • 2 - 3시간 간격으로 덧발라주기
  • 땀이 나거나 장시간 햇빛에 노출될 때는 수시로 더발라 주기
  • 입이나 눈에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기 - 분사형이나 분무형 제품은 얼굴에 직접 분사하면 흡입 우려가 있으므로 손에 덜어 사용
  • 귀가 후에는 꼼꼼하게 세안하기 - 알레르기 반응 등이 나타나면 즉시 사용을 중단하고 전문의와 상담
  • 물놀이할 때 내수성제품 지속내수성 제품 사용하기 - 지속내수성 제품이라도 2시간마다 덧발라야 자외선 차단효과를 유지할 수 있음

 

자외선 차단제 선택 요령

 

집안 등의 실내 SPF 10 PA +
간단한 실외 활동  SPF 10+ PA ++
스포츠 등 야외 활동 SPF 30+ PA ++
장시간 자외선 노출 SPF 50+ PA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