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푸바오의 중국 반환이 큰 이슈가 되었는데요.
멀쩡하게 잘 키우고 있는 판다를 왜 중국에 반환해야 하는지, 그밖에 자이언트판다에 대해 많이 궁금해하는 내용들을 모아 알려드리겠습니다.
워싱턴조약
1983년에 체결된 워싱턴조약은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을 보호하고자 만든 체결로 한국을 포함 세계 200여개국이 가입되어 있으며 희귀 동물을 다른 나라에 팔거나 기증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중국은 임대형식으로 판다를 빌려줍니다.
멸종위기종 판다
판다는 세계자연보전연맹이 지정하는 멸종 취약종이자 중국 쓰촨성, 칭하이성, 윈난성의 산악지대에서만 서식하는 희귀종입니다.
국외 반출을 엄격하게 금지하며, 모든 판다는 중국의 소유권을 갖습니다.
1970년대 1000마리 정도밖에 안되었던 개체수는 보호와 연구덕에 현재 1800여 마리 정도 있습니다.
판다는 짝짓기가 서툴고, 발정기도 너무 짧아서(1년에 3일) 인간의 개입이 없으면 짝을 잘 이루지 못하고 살다가 자식 없이 생을 마감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 번식이 어렵습니다.
설령 새끼가 태어나더라도 스스로 체온조절을 할 수 없을 정도로 아주 작고 약하게 태어나기 때문에 낳고 난 후 어미가 케어를 제대로 하지 않는다면 생존가능성도 매우 희박합니다.
어미가 출산 후 30분안에 새끼를 돌보지 않으면 죽게 될 확률이 높습니다.
판다외교, 판다의 임대기간과 임대료
판다의 임대기간은 15년이고 새끼 판다는 번식기에 접어드는 24개월 이후, 약 3살 ~ 4살이 되면 중국으로 반환합니다.
매년 판다의 번식 연구기금 명목으로 약 100만 달러의 임대료를 지불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정부가 이 금액을 지불하는 것이 아니고, 에버랜드가 부담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외국에 판다를 빌려주고 임대료를 받아 판다의 연구와 보호에 쓴다고 합니다.
그렇다고 돈을 주면 무조건 빌려주는 것이 아니라 중국과의 외교관계나 동물원의 환경, 사육능력등을 고려하여 빌려줍니다.
판다를 사육하기 위해서 유지비용이 많이 들다보니 다시 중국으로 반환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중국에만 판다가 있는 이유
약 800년 전만해도 판다는 흔히 볼 수 있는 육식 동물이었습니다. 그러다 여러 차례 빙하기를 겪는 등, 급격한 기후 변화로 인해 판다를 비롯 많은 동식물들이 멸종했는데 동아시아 판다는 민산(岷山)과 쓰촨성(四川省), 간쑤성(甘肃省) 경계에 있는 량산(凉山)의 보호를 받게 되어, 보존을 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판다는 왜 대나무를 먹게 되었을까?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원래 육식 동물이었던 판다가 여러 기후 변화를 겪으면서 사냥을 할 수 없는 상황이 되자, 고기 대신 먹을 식물을 선택하여야 했고, 판다 서식지 주변에 가장 많이 있었던 대나무를 먹게 되었다는 게 학설입니다. 판다는 보통 하루에 15 ~ 20kg 정도 먹습니다.
대나무의 종류는 1250여 종에 달하지만 판다가 섭취하는 대나무 종류는 25종에 불과합니다.
만약 대나무의 분포 및 다양성이 감소하게 되면 판다의 개체 수가 줄 뿐만 아니라 서식지의 생태계 전체에 심각한 적신호가 켜지게 됩니다.
우리나라의 판다 역사(?)
1994년 한중수교 2주년을 맞아 판다 암수 한 쌍을 선물 받았으나 1988년 외환 위기를 맞으면서 판다의 사육에 드는 비용 부담으로 중국에 반환하게 되었고, 그로부터 18년이 지난 2016년 암수한쌍 러바오와 아이바오를 임대하게 되었습니다.
2017년부터 번식을 시도했지만 실패를 하다가 2020년에 짝짓기에 성공하여, 국내 첫 아기판다 푸바오가 태어났습니다.
판다는 출산 한달전까지 임신 여부를 판단할 수 없고, 태어난 후에도 초기 생존율이 낮기에 푸바오가 태어난 후 사육사들이 눈물을 흘리며 축하하였다고 합니다.
푸바오(판다)를 다시 중국으로 반환하는 이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멸종위기종은 사고팔 수 없도록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일정기간 대여형식으로 판다를 임대 해 옵니다.
임대기간은 15년이기에 아이바오와 러바오도 2031년엔 중국으로 돌아가야 합니다.
푸바오의 경우 국내에서 태어났다 하더라도 판다는 중국소유로 규정하기 때문에 성 성숙이 이루어지는 생후 만 4년이 되면 번식을 위해 중국에 가야 하는 것입니다.
'정보 > 각종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업비트 출금실패 원인 해결하는 방법 (케이뱅크-지급정지) (0) | 2023.11.07 |
---|---|
일본 MZ세대 유행어 '개구리화 현상'(蛙化現象) 의미, 읽는 방법 (0) | 2023.09.10 |
2023 FIFA 여자월드컵 한국 국가대표팀 경기일정 중계 방송사 (0) | 2023.07.20 |
BTS 정국 (Jung Kook) Seven Lyrics 세븐 영어 해석 한글가사 (0) | 2023.07.14 |
파리 생제르맹 PSG 이강인 입단 (정보/경기일정/인스타/홈페이지 가입) (0) | 2023.07.09 |